그룹 '멘사' 의 명예회장이 17년간 자신이 바보인 줄 알고 살았다면?


멘사 명예회장 빅터 세레브리아코프의 삶이 24일 방송된 MBC '신비한TV 서프라이즈'에서 소개되며 화제를 모으고 있다.

빅터 세레브리아코프는 1912년 영국 빈민가에서 탄생했다.

어린시절 어눌한 말투에 학교 수업도 쫓아가지 못할만큼 둔재였던 그는 15살 때 결국 학교를 자퇴한다. 주변인들은 그를 '바보'로 불렀다.

빅터는 사회생활에도 적응하지 못해 회사에서도 해고되고 떠돌이 막노동꾼으로 생계를 이어간다. 빅터는 끝없이 자신을 바보라고 자책한다.

세계 2차 대전이 일어나자 빅터는 군대에 자원 입대한다. 입대를 위해 받은 지능검사에서 빅터는 IQ 161 이상의 수치를 받는다. 당시 육군이 실시한 검사 중 최고 수치였다.

자신의 IQ를 확인한 빅터는 17년간의 삶과 180도 다른 생활을 시작한다. 군에선 빅터에게 신병교육을 담당하는 중책을 맡기며 파격적 인사조치를 취한다.

빅터는 휼륭하게 임무를 수행하고 육군 부대로 부터 는 장교 자리를 제안받는다. 빅터는 장교 자리를 거절하고 자신이 실패했던 분야인 목재 회사에 취업, 목재 등급을 자동으로 측정하는 기계를 발명해 영국 목재 표준위원회 회장 자리에 오르는 등 눈부신 업적을 이룬다. 또 아내의 권유로 1949년 멘사에 가입해 적극적인 활동을 펼쳤다.

빅터는 멘사에서도 뛰어난 리더십을 발휘한다. 17년간 바보로 살아온 그는 1953년 상위 2% 두뇌들만 모인다는 멘사 최고 경영자로 선출된다.

1977년 멘사에서 만든 퍼즐이 잡지에 게재되면서 회원 가입 신청자 수가 늘어나자 그는 가입 절차를 체계화시켜 입회 시험을 만들었다. 멘사는 결과 100여개국 11만명 회원을 가진 집단이 됐다.

빅터는 하루아침에 엄청난 지식을 얻은 게 아니다. 빅터의 인생이 바뀐 것은 자신감을 되찾은 일이 전부였다.

'마시멜로' 이야기로 국내에 큰 반향을 일으켰던 호아킴 데 포사다는 그의 이야기를 '바보 빅터: 17년 동안 바보로 살았던 멘사 회장의 이야기'(한국경제신문사) 라는 제목의 책으로 출간했다.

저자는 "빅터는 긴 시간 동안 절망과 고통 속에서 살았지만,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을 되 찾았을때 삶의 변화를 얻게 됐다"며 "자신에 대한 믿음과 긍정의 힘은 많은 것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경닷컴 정원진 기자 aile02@hankyung.com

행복한 사람일수록 상대의 눈을 똑바로 쳐다보고, 행복하지 않은 사람은 다른 사람의 눈길을 회피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앵글리아 러스킨 대학 피터 힐스 교수는 사람이 기분에 따라 시선을 어디에 두는지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다. 이번 연구는 실험 참가자들을 두 그룹으로 나눈 뒤 각 그룹에 기분을 우울하게 만들거나 유쾌하게 해주는 음악을 틀어주고 이후의 행동을 관찰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그 결과 기분이 우울해진 사람들은 행복한 기분을 느낀 사람들과 달리 상대의 눈을 잘 쳐다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할 만한 점은 상대의 눈을 피하는 행동이 그 사람의 기분을 더욱 우울하게 만드는 악순환의 연결 고리가 된다는 점이다. 눈을 피한다는 것은 사회적으로 원활한 소통을 할 의지가 없다는 것을 뜻한다. 그런데 이렇게 행동할수록 그 사람이 느끼는 고립감은 커지고 결국 불행한 감정은 더 고조된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또 우울한 사람들은 헤어스타일을 사람들이 익숙하지 않은 모양으로 바꾸려고 하는 경향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행동도 다른 사람들이 친밀감을 느끼지 못하게 해 고립감을 높이고 불행한 감정만 키우는 결과를 낳게 된다.

힐스 교수는 “눈을 피하는 것이 근심걱정을 잠시 덜어줄 수는 있어도 불행한 기분 자체를 해소하는 데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미국 소비자 연구 저널이 14일(현지시각)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람들은 기분이 좋을 때 더 빠르고 일관된 결정을 내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버지니아 공대의 폴 헤르와 데릭 데이비스 등으로 구성된 연구진은 어떤 물체가 좋고 싫은지를 답하는 가장 기본적인 의사결정에 사람의 기분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실험을 했다.

연구진은 실험 참가자들에게 귀여운 강아지와 같은 긍정적인 느낌의 사진과, 병이 난 발과 같은 기분 나쁜 물체의 사진을 스크린으로 차례대로 보여주면서 이들의 기분을 조작했다.

그러고 나서 좋다(like)-싫다(dislike), 좋다(good)-나쁘다(bad), 호의적인(favorable)-비판적인(unfavorable), 매력적인(appealing)-혐오스런(repulsive) 등의 단어를 보여주면서, 이 단어와 앞서 물체를 보고 느낀 감정이 일치하면 '예' 버튼을 그렇지 않으면 '아니오' 버튼을 누르게 했다.

그 결과 연구진은 긍정적인 느낌의 사진을 보고 나서 기분이 좋은 사람이 단어에 대해 더 빠르고 일관되게 반응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즉, 실험 참가자들이 어떤 물체를 보고 좋아한다고 응답하면 이후 같은 물체가 부정적인 단어와 함께 등장했을 때에도 그것을 싫어한다고 답할 확률이 낮다는 것.

+ Recent posts